세계서 가장 오래된 7000년 전 미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21.08
02
뉴스관리팀장
21시 11분
424
0
본문
▲ 세계서 가장 오래된 미라로 꼽히는 7000년 전 칠레 친초로 미라
세계서 가장 오래된 미라로 꼽히는 ‘친초로 미라’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목록에 추가됐다.
로이터 등 해외 언론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친초로’로 불리는 이 미라는 칠레 북부지역 고대 민족의 것으로, 제작 시기는 이집트의 미라보다 약 2000년 앞선 7000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유엔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는 27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친초로 문화 정착지 및 인공미라’를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친초로 미라는 1917년 최초로 발견된 뒤 수십 년 후에야 해당 미라의 역사가 7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이 알려져 학계를 놀라게 했다. 친초로 민족은 기원전 1700년경 사망한 사람을 인위적으로 미라로 만들어 보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미라는 진흙 또는 진짜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긴 가발을 쓰고 있었다. 친초로 미라 중 한 구는 윗입술 위에 콧수염을 연상케 하는 점선이 있었고, 이는 서반구에서 가장 오래된 문신의 직접적 증거로 꼽히기도 한다.
칠레의 인류학자인 베르나르도 아리아자는 AFP와 한 인터뷰에서 “친초로는 기원전 5450~기원전 890년 사이에 칠레 최북단 아타카마사막의 건조한 지역에 살았던 고대 민족으로, 해양수렵 및 채집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면서 “친초로 문화 정착지와 인공미라는 매우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여러 전문가를 통해 검증받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골격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친초로 민족의 식단 중 90%가 해산물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현재까지 300구 이상의 친초로 미라가 발견됐으며, 대부분이 매우 정교한데다 보존 상태도 양호해 높은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유네스코는 “왕족을 위해 미라 기술을 사용한 고대 이집트인들과 달리, 친초로는 연령과 성별, 계급을 구분하지 않고 시신을 체계적으로 해부한 뒤 미라화 했다”고 설명했다. 디만 친초로 민족이 어떤 목적으로 미라를 만들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전문가들은 수년 전부터 7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친초로 미라가 기후변화로 인해 위기에 처해있다고 호소해왔다.
칠레 북부 태라파카대학 고고학박물관에서 보존 중인 미라 100여 구는 이미 빠르게 부패됐고, 몇 개는 이미 검게 변한 상태다. 미라 보존에 적합한 습도는 40~50%인데, 최근 칠레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히 습도가 상승하는 기후이상 현상이 나타나면서 박물관의 미라에까지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과거 마르셀라 세풀베다 칠레 고고학교수는 “지난 10년 간 부패 속도가 빨라졌다”면서 “문제는 박물관이 아니라 계곡 아래나 사막 등지에 매장돼 있는, 아직 발굴하지 못한 미라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부패를 피하지 못하면 이들 미라의 가치가 사라질 것”이라고 호소한 바 있다.
김순실 기자.
세계서 가장 오래된 미라로 꼽히는 ‘친초로 미라’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목록에 추가됐다.
로이터 등 해외 언론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친초로’로 불리는 이 미라는 칠레 북부지역 고대 민족의 것으로, 제작 시기는 이집트의 미라보다 약 2000년 앞선 7000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유엔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는 27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친초로 문화 정착지 및 인공미라’를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친초로 미라는 1917년 최초로 발견된 뒤 수십 년 후에야 해당 미라의 역사가 7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이 알려져 학계를 놀라게 했다. 친초로 민족은 기원전 1700년경 사망한 사람을 인위적으로 미라로 만들어 보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미라는 진흙 또는 진짜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긴 가발을 쓰고 있었다. 친초로 미라 중 한 구는 윗입술 위에 콧수염을 연상케 하는 점선이 있었고, 이는 서반구에서 가장 오래된 문신의 직접적 증거로 꼽히기도 한다.
칠레의 인류학자인 베르나르도 아리아자는 AFP와 한 인터뷰에서 “친초로는 기원전 5450~기원전 890년 사이에 칠레 최북단 아타카마사막의 건조한 지역에 살았던 고대 민족으로, 해양수렵 및 채집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면서 “친초로 문화 정착지와 인공미라는 매우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여러 전문가를 통해 검증받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골격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친초로 민족의 식단 중 90%가 해산물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현재까지 300구 이상의 친초로 미라가 발견됐으며, 대부분이 매우 정교한데다 보존 상태도 양호해 높은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유네스코는 “왕족을 위해 미라 기술을 사용한 고대 이집트인들과 달리, 친초로는 연령과 성별, 계급을 구분하지 않고 시신을 체계적으로 해부한 뒤 미라화 했다”고 설명했다. 디만 친초로 민족이 어떤 목적으로 미라를 만들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전문가들은 수년 전부터 7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친초로 미라가 기후변화로 인해 위기에 처해있다고 호소해왔다.
칠레 북부 태라파카대학 고고학박물관에서 보존 중인 미라 100여 구는 이미 빠르게 부패됐고, 몇 개는 이미 검게 변한 상태다. 미라 보존에 적합한 습도는 40~50%인데, 최근 칠레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히 습도가 상승하는 기후이상 현상이 나타나면서 박물관의 미라에까지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과거 마르셀라 세풀베다 칠레 고고학교수는 “지난 10년 간 부패 속도가 빨라졌다”면서 “문제는 박물관이 아니라 계곡 아래나 사막 등지에 매장돼 있는, 아직 발굴하지 못한 미라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부패를 피하지 못하면 이들 미라의 가치가 사라질 것”이라고 호소한 바 있다.
김순실 기자.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