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값 6000원대 인하’가 최대 경제 현안인가.
2021.08
15
뉴스관리팀장
12시 27분
462
0
본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2일 페이스북에 달걀값이 6000원대로 진입했다는 글을 올렸다. /페이스북 캡처
홍남기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2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계란가격 6000원대 진입’이라는 성과(成果)를 자랑했다. 올해 1월 27일 이후 7000원대를 유지했던 달걀 한판 가격이 처음으로 6000원대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평균 달걀 소매 가격은 12일(7077원) 보다 1.8% 내린 6946원으로 집계됐다. 13일에는 6893원까지 떨어졌다.
6000원대 계란 값을 만들기 위해 수십명에서 수백명의 공무원들이 투입됐다 기재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립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 등 정부 부처와 공공·유관기관들도 총출동했다. ‘계란 값 내려가는 게 범(凡)정부적 과제가 됐다’는 씁쓸한 하소연을 하는 공무원들이 점점 늘어날 즈음 홍 부총리의 페북 글이 올라왔다. “계란은 전 국민이 일인당 사실상 하루에 한개 정도를 소비할 만큼 상징적으로 민생과 직결되는 품목이기에 계란 가격의 안정화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렁찬 목소리가 귓가에 울리는 듯 했다.
과거 계란 값 통계를 보면 홍 부총리의 주장은 앞 뒤가 맞지 않다. 수 차례 과거 계란 값 파동을 보면 ‘달걀 한 판 7000원’은 비상 사태라고 하기에는 어색해 보인다.
2016년 11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서, 방역을 위해 닭 3800만 마리를 살처분 했다. 달걀을 낳을 수 있는 산란계가 급격히 줄면서 계란 값은 2017년 1월 9500원대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정부의 수입란 공급과 0% 관세 지원 등으로 한달 만에 7000원대로 내려왔다. 올해 AI 사태로 살처분 된 닭이 1700만 마리 수준이라 2017년과 비교하면 계란 가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다. 서민 생활에 영향이 큰 계란 가격을 낮추려고 노력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지만, 정부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야 할 과제인지 의문이 든다.
지난 3일 3번째 달걀 현장방문에서 “달걀 가격이 6000원대로 인하될 수 있도록 ‘특단의 각오’로 대응하라”는 지시를 했던, 홍 부총리는 상반기까지만 해도 물가에 큰 관심이 없어 보였다. 파 값이 작년보다 100% 이상 올라 ‘금(金)파’, ‘파테크’ 소동이 일어났을 당시 ‘파 값 인하’를 입에 올린 모습을 볼 수 없었다. 파 값을 잡겠다면서 농수산물 도매시장을 찾는다던가, 파 밭으로 발길을 돌린 모습도 없었다. 계란 값에 집착하는 남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할 정도다. ‘계란 값 6000원대 인하’ 지시에 “계란 값도 정부가 결정하나”, “부동산 못 잡으니 계란 값이라도 잡겠다는 것이냐”, “다(多)계란 보유세는 매기지 않나”라는 반응이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들끓는 것은 홍 부총리의 행보가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홍남기 부총리가 달걀 값 인하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이 다른 장바구니 물가는 고공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안 오른 게 없다’라는 말이 전혀 과장이 아니다. 추석 성수기 품목인 사과, 배는 지난 7월 각각 60.7%, 52.9%나 올랐다. 휘발유, 경유, LPG는 두 자릿수 상승률이 연말까지는 지속될 전망이다. 집세는 2017년 1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값 인상으로 서민의 음식 라면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구리, 철 등 원자재값 인상으로 공사 현장에서 곡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제 전체로도 시름이 늘고 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서는 등 코로나 4차 유행이 장기화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그간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활력이 그나마 우리 경제를 지탱해줬지만, 원자재값 급등으로 이달 1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입은 46억 91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경제의 활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연못에 바늘이 빠지면 물을 다 퍼내서라도 찾을 사람”이라는 게 홍 부총리에 대한 관료사회의 평가다. 연못에서 물을 퍼내더라도, 그 전에 그 바늘이 찾을 가치가 있는지 고민을 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물 퍼낼 가치가 있는 것인지. 달걀 부총리가 아닌, 경제 부총리가 필요한 이유다.
김사보 기자.
홍남기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2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계란가격 6000원대 진입’이라는 성과(成果)를 자랑했다. 올해 1월 27일 이후 7000원대를 유지했던 달걀 한판 가격이 처음으로 6000원대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평균 달걀 소매 가격은 12일(7077원) 보다 1.8% 내린 6946원으로 집계됐다. 13일에는 6893원까지 떨어졌다.
6000원대 계란 값을 만들기 위해 수십명에서 수백명의 공무원들이 투입됐다 기재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립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 등 정부 부처와 공공·유관기관들도 총출동했다. ‘계란 값 내려가는 게 범(凡)정부적 과제가 됐다’는 씁쓸한 하소연을 하는 공무원들이 점점 늘어날 즈음 홍 부총리의 페북 글이 올라왔다. “계란은 전 국민이 일인당 사실상 하루에 한개 정도를 소비할 만큼 상징적으로 민생과 직결되는 품목이기에 계란 가격의 안정화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렁찬 목소리가 귓가에 울리는 듯 했다.
과거 계란 값 통계를 보면 홍 부총리의 주장은 앞 뒤가 맞지 않다. 수 차례 과거 계란 값 파동을 보면 ‘달걀 한 판 7000원’은 비상 사태라고 하기에는 어색해 보인다.
2016년 11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서, 방역을 위해 닭 3800만 마리를 살처분 했다. 달걀을 낳을 수 있는 산란계가 급격히 줄면서 계란 값은 2017년 1월 9500원대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정부의 수입란 공급과 0% 관세 지원 등으로 한달 만에 7000원대로 내려왔다. 올해 AI 사태로 살처분 된 닭이 1700만 마리 수준이라 2017년과 비교하면 계란 가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다. 서민 생활에 영향이 큰 계란 가격을 낮추려고 노력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지만, 정부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야 할 과제인지 의문이 든다.
지난 3일 3번째 달걀 현장방문에서 “달걀 가격이 6000원대로 인하될 수 있도록 ‘특단의 각오’로 대응하라”는 지시를 했던, 홍 부총리는 상반기까지만 해도 물가에 큰 관심이 없어 보였다. 파 값이 작년보다 100% 이상 올라 ‘금(金)파’, ‘파테크’ 소동이 일어났을 당시 ‘파 값 인하’를 입에 올린 모습을 볼 수 없었다. 파 값을 잡겠다면서 농수산물 도매시장을 찾는다던가, 파 밭으로 발길을 돌린 모습도 없었다. 계란 값에 집착하는 남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할 정도다. ‘계란 값 6000원대 인하’ 지시에 “계란 값도 정부가 결정하나”, “부동산 못 잡으니 계란 값이라도 잡겠다는 것이냐”, “다(多)계란 보유세는 매기지 않나”라는 반응이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들끓는 것은 홍 부총리의 행보가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홍남기 부총리가 달걀 값 인하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이 다른 장바구니 물가는 고공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안 오른 게 없다’라는 말이 전혀 과장이 아니다. 추석 성수기 품목인 사과, 배는 지난 7월 각각 60.7%, 52.9%나 올랐다. 휘발유, 경유, LPG는 두 자릿수 상승률이 연말까지는 지속될 전망이다. 집세는 2017년 1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값 인상으로 서민의 음식 라면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구리, 철 등 원자재값 인상으로 공사 현장에서 곡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제 전체로도 시름이 늘고 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서는 등 코로나 4차 유행이 장기화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그간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활력이 그나마 우리 경제를 지탱해줬지만, 원자재값 급등으로 이달 1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입은 46억 91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경제의 활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연못에 바늘이 빠지면 물을 다 퍼내서라도 찾을 사람”이라는 게 홍 부총리에 대한 관료사회의 평가다. 연못에서 물을 퍼내더라도, 그 전에 그 바늘이 찾을 가치가 있는지 고민을 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물 퍼낼 가치가 있는 것인지. 달걀 부총리가 아닌, 경제 부총리가 필요한 이유다.
김사보 기자.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