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빚투 2030…예고된 금리인상에 깊어지는 시름
2021.06
24
뉴스관리팀장
06시 08분
452
0
본문
대출 창구. 연합뉴스저금리 기조속에 2030 청년층의 소위 빚투, 영끌 현상이 좀처럼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 최근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 되면서 대출이 급증한 2030 청년층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신규 대출 60%가 '청년층'…"왜 대출하냐고요?"
전문직 최모(28 ) 씨는 지난 2월 시중은행에서 1억원을 대출을 받았다. 본인도 인정할 정도로 무리해서 대출을 받은 이유는 가상화폐 투자를 위해서다. 이 가운데 9800만원을 비트코인에 투자했다. 최 씨는 "지난해부터 사람들이 투자를 많이 해서 그 흐름에 동참하기 위해 대출을 받았다"고 말했다.
최 씨 주변엔 주식이나 가상화폐 투자를 위해 대출을 받은, 소위 빚투(빚내서 투자)가 많다. 전문직임에도 불구하고 월급에 비해 너무 급격하게 오른 집값을 쫓아가기 벅차 투자용 시드머니를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선택한다는 것.
그는 "다들 '이대로 투자마저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나만 뒤처진다'고 생각한다"며 "사회 초년생들은 시드머니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출이라도 해서 투자를 빨리 시작하려는 수요가 많다"고 전했다.
그러나 가상화페 가격 급등의 원동력이었던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기 위한 각 국의 '긴축 시계'가 최근 빨라지면서 가상화폐 가격도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6만달러를 넘어섰던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3만달러 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최 씨 역시 "지난 4월까지는 수익이 났지만, 5월부터 코인 가격이 많이 떨어져 현재 30% 손실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매입이나 전세 계약을 위해 소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로 대출을 한 청년층도 향후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을 걱정하긴 마찬가지다.
맞벌이 부부인 조모(36) 씨는 4년 전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받을 수 있는 모든 대출을 모두 받아 5억원 가량을 빌렸다. 상환 기간은 30년. 원리금을 갚는 데 한달에 200만원가량을 지출한다.
그는 "대출 후 몇년이 지나다 보니 금리 인상 소식에 무뎌졌다"면서도 "시장금리의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라 인상 폭이 커지지 않을지 걱정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 시중은행에서 전세자금 1억 9천만원을 대출받은 회사원 강모(28) 씨도 부채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는 "처음에 집을 계약할 때는 저금리 상황이어서 한달에 나갈 돈을 예산 범위 안에서 미리 생각해놨다"면서 "금리가 올라가면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다. 계약 시 변동금리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못 들어 걱정된다"고 했다.
◇"금리인상에 취약…경제적 특성 고려해야"
저금리 기조 속에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득수준에 비해 대출 규모를 크게 늘린 청년층이 금리 인상, 그리고 이어질 자산가격 하락 상황을 잘 버틸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시선은 각종 지표에서도 나타난다.
한국은행이 정의당 장혜영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체 가계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 평균은 229.1%인데, 30대는 262.2%로 가장 높았다. 전체 LTI는 작년 한 해 11.6%p 올랐으나, 같은 기간 20대 이하와 30대는 각각 23.8%p, 24.0%p 급증했다.
또, 지난해 말 청년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의 대출 잔액은 130조원 규모로 2019년 말보다 16.1% 증가했다. 20대의 카드론 대출 잔액은 8조원 수준으로 1조 1410억원(16.6%) 늘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금융기관들의 움직임과 정책당국이 펼치는 대출 정책의 방향이 같이 가야 한다"며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자산이 적은 계층에 대해서는 대출을 줄이는 게 맞다"고 짚었다.
비트코인 가격이 보이고 있다. 이한형 기자이어 "목돈이 필요한 주택보다 가상화폐처럼 변동성이 더 큰 자산에 투자했다면, 이 같은 자산 가격이 빠진 상황에서 대출 이자 부담까지 늘어나 부담이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연세대 경제학과 성태윤 교수는 "금리 상승기에는 부채를 이용한 투자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며 "금리 환경에 민감한 형태의 자산을 확보하려 부채를 만드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낸 '2021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에 따르면 3대 경제주체의 총부채는 5086조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말 '민간신용'(가계+기업 부채)은 명목 GDP의 216.3%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9% 포인트 급증했다. 가계 및 기업 빚이 우리 경제 규모보다 두 배 이상 크다는 의미다.
한은은 시나리오 분석 결과 '빚투(빚 내서 투자)'와 자산 가격 급등 등 현재의 금융 불균형 상태에 강한 대내외 충격이 더해지면 1년 뒤 GDP 성장률이 연간 -0.75%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가계대출 부도율이 충격 이전 0.83%에서 1.18%로 높아지고 기업대출 부도율도 1.48%에서 2.36%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white@cbs.co.kr
◇신규 대출 60%가 '청년층'…"왜 대출하냐고요?"
전문직 최모(28 ) 씨는 지난 2월 시중은행에서 1억원을 대출을 받았다. 본인도 인정할 정도로 무리해서 대출을 받은 이유는 가상화폐 투자를 위해서다. 이 가운데 9800만원을 비트코인에 투자했다. 최 씨는 "지난해부터 사람들이 투자를 많이 해서 그 흐름에 동참하기 위해 대출을 받았다"고 말했다.
최 씨 주변엔 주식이나 가상화폐 투자를 위해 대출을 받은, 소위 빚투(빚내서 투자)가 많다. 전문직임에도 불구하고 월급에 비해 너무 급격하게 오른 집값을 쫓아가기 벅차 투자용 시드머니를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선택한다는 것.
그는 "다들 '이대로 투자마저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나만 뒤처진다'고 생각한다"며 "사회 초년생들은 시드머니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출이라도 해서 투자를 빨리 시작하려는 수요가 많다"고 전했다.
그러나 가상화페 가격 급등의 원동력이었던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기 위한 각 국의 '긴축 시계'가 최근 빨라지면서 가상화폐 가격도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6만달러를 넘어섰던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3만달러 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최 씨 역시 "지난 4월까지는 수익이 났지만, 5월부터 코인 가격이 많이 떨어져 현재 30% 손실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매입이나 전세 계약을 위해 소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로 대출을 한 청년층도 향후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을 걱정하긴 마찬가지다.
맞벌이 부부인 조모(36) 씨는 4년 전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받을 수 있는 모든 대출을 모두 받아 5억원 가량을 빌렸다. 상환 기간은 30년. 원리금을 갚는 데 한달에 200만원가량을 지출한다.
그는 "대출 후 몇년이 지나다 보니 금리 인상 소식에 무뎌졌다"면서도 "시장금리의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라 인상 폭이 커지지 않을지 걱정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 시중은행에서 전세자금 1억 9천만원을 대출받은 회사원 강모(28) 씨도 부채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는 "처음에 집을 계약할 때는 저금리 상황이어서 한달에 나갈 돈을 예산 범위 안에서 미리 생각해놨다"면서 "금리가 올라가면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다. 계약 시 변동금리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못 들어 걱정된다"고 했다.
◇"금리인상에 취약…경제적 특성 고려해야"
저금리 기조 속에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득수준에 비해 대출 규모를 크게 늘린 청년층이 금리 인상, 그리고 이어질 자산가격 하락 상황을 잘 버틸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시선은 각종 지표에서도 나타난다.
한국은행이 정의당 장혜영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체 가계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 평균은 229.1%인데, 30대는 262.2%로 가장 높았다. 전체 LTI는 작년 한 해 11.6%p 올랐으나, 같은 기간 20대 이하와 30대는 각각 23.8%p, 24.0%p 급증했다.
또, 지난해 말 청년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의 대출 잔액은 130조원 규모로 2019년 말보다 16.1% 증가했다. 20대의 카드론 대출 잔액은 8조원 수준으로 1조 1410억원(16.6%) 늘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금융기관들의 움직임과 정책당국이 펼치는 대출 정책의 방향이 같이 가야 한다"며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자산이 적은 계층에 대해서는 대출을 줄이는 게 맞다"고 짚었다.
비트코인 가격이 보이고 있다. 이한형 기자이어 "목돈이 필요한 주택보다 가상화폐처럼 변동성이 더 큰 자산에 투자했다면, 이 같은 자산 가격이 빠진 상황에서 대출 이자 부담까지 늘어나 부담이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연세대 경제학과 성태윤 교수는 "금리 상승기에는 부채를 이용한 투자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며 "금리 환경에 민감한 형태의 자산을 확보하려 부채를 만드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낸 '2021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에 따르면 3대 경제주체의 총부채는 5086조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말 '민간신용'(가계+기업 부채)은 명목 GDP의 216.3%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9% 포인트 급증했다. 가계 및 기업 빚이 우리 경제 규모보다 두 배 이상 크다는 의미다.
한은은 시나리오 분석 결과 '빚투(빚 내서 투자)'와 자산 가격 급등 등 현재의 금융 불균형 상태에 강한 대내외 충격이 더해지면 1년 뒤 GDP 성장률이 연간 -0.75%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가계대출 부도율이 충격 이전 0.83%에서 1.18%로 높아지고 기업대출 부도율도 1.48%에서 2.36%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white@cbs.co.kr
댓글목록 0